정말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공기업을 이제 막 준비하는 단계인데 가장 어려운 부분이

스펙이나 공부를 어느정도 수준까지 해야하는지가 어려운것 같습니다.

그 부분에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저는 은행에서 근무하다가 두달전쯤에 나와서 공기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금융공기업과 비금융공기업을 가리지 않고 지원해볼 생각입니다.  이점 고려하면서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 스펙 관련

학교나 학점 나이 등으 고려대상이 아니라고 하니 생략하겠습니다^^


경력: 시중은행 1년 6개월 근무

전공: 경영학

토익: 960

한국사 1급

컴활 2급

직장을 그만두고 급하게 준비하다보니 완벽한 스펙은 아닌것 같습니다. 어학 스피킹점수나 컴활 1급을 추가적으로

취득하라는 조언을 많이 들었습니다. 여기서 컴활1급이나 어학 스피킹점수를 취득하는게 저의 서류합격 달성률을

높이는데 크게 작용할지가 궁금합니다.

선생님의 조언대로 너무 스펙에 매달리지 말고 전공이나 인적성 상식 면접 공부에 조금 더 비중을 둘까 하는데

좋은 생각일까요?


2. 선생님의 강의 관련

사실 처음에는 CPA강의로 전공을 준비할까 했는데 그러지 않기를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설명회 강의를 보면

시중 공기업에서 다양한 전공을 1개에서 통합으로 4개까지 보는 기업이 있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전공을 1개보는 기업의 경우에는 난이도가 그래도 전공수준은 된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선생님의 강의 컨텐츠가

전공 1개보는 기업의 난이도를 타겟팅한 수준(혹은 금융 공기업까지도 커버가 가능한 수준인가요?)인지 통합으로 보는 기업 전

공 난이도를 타겟팅한 수준인지 궁금합니다.


3. 전공의 선택 수


경영학 전공이고 비록 회계사 준비를 한것은 아니지만 재무관리나 회계강의를 학창시절 나름 열심히 공부한 편이라

기본적인 지식은 있는 편입니다.  

또 경제학도 미시나 거시수준으로 인터넷강의를 들으며 공부한 경험이 있어 지금은 많이 잊어버렸지만

복습하면 금방 기억나리라 기대합니다.

법이나 행정 등 다른 전공은 한번도 접해본적이 없습니다.

상반기를 노린다고 했을 때.. 현실적으로 경영학 전공만을 준비해도 시간이 충분할것 같지는 않아

일단 출제범위가 경영,회계,재무인 기업만 노리고자 합니다. 혹시 상반기때 좋은 결과가 있지 않는다면

전공의 숫자를 늘릴 계획이었습니다. 그런데 선생님의 강의를 보니 오히려 4과목을 준비하는게 합격률을 높일수

있는 비결이라 하니 고민이 되네요.


4. 원가회계

상식적으로 볼때 공기업은 제조기업이 아니라 원가회계가 쓰이지 않을것 같아서 범위에도 포함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듭니다. 그런데 혹시나 하는 마음에 질문합니다. 상경과목 전공선택시 원가회계는 준비하지 않아도 될까요?


5. 면접 공부

논술이나 전공은 인터넷 강의 커리큘럼이 있어 따라가려합니다. 평소에 면접공부도 병행하라고 하셨는데

어떤방식으로 준비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기업이 사실 여러개라 특정 회사의 이슈 등을 전공과목과

연결하여 생각하기는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선생님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공기업으로 가는길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합격소식 알려드릴게요. 감사합니다.